정보관리 기술사 공부
주요 토픽 정리 391~420 [DS]
장술사
2023. 7. 27. 09:10
반응형
토픽 | 키워드 | 두음신공 | 주요 내용 |
HDFS(Hadoop Distributed File System) |
하둡 분산 파일 시스템, Scale-Out, 3 Replica, 네임/데이터 노드
|
(정의) 하둡 프레임워크에서 데이터를 분산 저장하는 분산 파일 시스템
(특징) Scale-Out, 블록저장(1 block=64/128MB, 3 Replica), 다중복제, 대량 파일 저장, 범용장비(x86, SATA기반), 고가용성(HA), 응용프로그램 접근성 (구조 : Master/Slaver 구조) . Name 노드 : 메타정보 관리, 블록정보 저장, Client 요청 처리, 블록 복제관련 모든 결정, 데이터 노드 관리(주기적 Heartbeat, Block 리포트) . Data 노드 : 실제 데이터 처리(블록 생성/삭제/복제), Client 요청 수행 * Hadoop 1.0 단점 : 비효율적 자원관리(2.0 : YARN 도입, 컨테이너 기반 처리), 저장 공간 비효율(3.0 : Erasure Coding(에러정정 코드만 저장) 도입으로 1.4배 오버헤드) |
|
클라우드 SLA |
정형화된 지표, 등급 선택
|
(SLA 가이드 기준) 가용성(99.5), 백업 준수율(99), 고객 요청 처리율(99), 서비스 요청 적기 처리율(99), 위약금, 서비스 계약 해지
(특징) 정형화된 지표(사용자와 합의하여 지표 구성 안함), SLA 등급 선택, SLA 평가 보상 |
|
모바일 클라우드 |
모바일 기능 일부를 클라우드로 넘김
|
(정의) 모바일 단말의 HW, NW 제약 극복을 위해 모바일 기능 일부를(데이터 저장, 작업 처리) 클라우드에 넘겨 단말 기능을 확장하여 보다 풍부한 모바일 서비스를 제공해줄 수 있는 시스템, 클라우드와 모바일 서비스의 결합
*BaaS (Backend as a Service) : 모바일 앱개발자를 위한 클라우드 서비스 , 모바일 응용 프로그램 API와 클라우드 연동하여 모바일 앱 개발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도록 환경을 제공하는 서비스 |
|
오픈스택(Openstack) |
클라우드 오픈 소스 프로젝트
|
(정의) 클라우드 컴퓨팅 플랫폼을 구축하는데 필요한 모든 소프트웨어 블록을 개발하는 오픈 소스 프로젝트
(특징) REST API 기반, H/W 제한 없음, 클라우드 간 이동 용이, 확장성, 아파치 라이선스하에 배포, 6개월 릴리즈 사이클 (종류) . 컴퓨트(Nova, 클라우드 컨트롤러, 자원 Pool 관리 및 자동화), 오브젝트 스토리지(Swift, 분산형 객체 스토리지, 복제), 볼륨 서비스(Cinder), 이미지(Glance, 가상머신 부팅 이미지 관리), 네트워킹(Neutron), 인증(Keystone), 대시보드(Horizon) 등 |
|
메타데이터 |
데이터 속성 정보, Duline Core, RDF, Ontology
|
(정의) 효과적인 정보 검색 및 활용을 위해 일정 규칙이 부여된 데이터 속성 정보, 데이터를 식별/정의/서술하기 위한 데이터에 대한 데이터
(유형) . 자원 식별 : URI, URL, URN / 자원 기술 : MARC(기계 가동형 목록), Dublin Core(자원 식별 표준화 표현, ANSI), RDF(자원 기술 프레임워크), Ontology(관계), CWM(DW 정의 모델), PICS(콘텐츠 등급) (상호 운용성 확보 방안) MDR, RDF |
|
MDR(MetaData Registry) |
데이터 표준화 지원 시스템
|
(정의) 데이터 공유 및 교환을 지원하기 위해 메타데이터 명세의 표준화/등록/인증을 통한 포괄적 데이터 표준화 지원 시스템
(구성요소) . 객체클래스(실시간 객체의 의미와 범위), 특성(Property, 객체 클래스의 일반적 특성), 표현(Representation, 데이터 펴현 방법) (ISO/IEC 11179) MDR 표준화 프레임워크 제시, Part1~6, 프레임워크/분류 체계/메타모델/정형화/명명과 식별자 부여/등록 과정 |
|
Dublin Core(더블린코어) |
메타데이터 요소 집합
|
(정의) 데이터의 형식과 구조를 단순화한 메타데이터 요소 집합, 디지털 매체들을 기술하는데 널리 사용
(특징) 단순화/간편화/자동화/저비용, 범용성, 확장성, 독립성, 표준성(ISO 15835) (기본 요소) . 콘텐츠 기술(표제, 유형, 설명, 주제, 관계, 출처, 범위), 지적 속성(제작자, 기타제작자, 발행처, 권한), 물리적 기술(날짜, 언어, 형식, 식별자) |
|
DOI(Digital Object Identifier) |
디지털 콘텐츠 고유 식별번호
|
(정의) 모든 디지털 콘텐츠에 부여되는 고유 식별번호
(특징) 인식성, 변환 용이성, 응용성, 운용성, 권리표기, 영구식별, 유일성, ISO 26324 (구문 구조) Prefix[등록기관. 등록자번호] / Suffix[제작자가 부여한 Item ID] ex) 10.1002/[ISBN]89-471-58064-3 (구성요소) DOI 등록/변환/검색/유통(INDECS 이용 콘텐츠 거래내역 관리)/참조링크 시스템 |
|
INDECS(INteroperability of Data in E-Commerce System)
|
(정의) 전자상거래 시스템에서 이용되는 다양한 디지털 콘텐츠 메타데이터의 상호운용성을 위해 개발된 구조물, DOI가 담고있는 데이터를 규정하는 메타데이터
(구성요소) Entity, Parties, Creation, Relation (4가지 원칙) 고유 식별, 기능적 세분화, 지정된 권위, 적절한 접근 |
||
NFC(Near Field Communication) |
모바일 기기에 장착, 13.56MHz, 424Kbps, 10cm
|
(정의) 모바일 기기에 장착하여 13.56MHz 이용해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고, RFID와 스마트 기능을 통합한 근거리 무선통신 기술
(특징) 13.56MHz, 424Kbps, 10cm, ISO/IEC 18092, 저전력, 비밀키 암호화, P2P 통신, 능동/수동 운영모드, 단말기반, SIM기반 (구성요소) NFC칩(송수신한 데이터를 처리), 안테나(RF를 송수신), SE(Secure Element, 보안 담당) (NFC 통신 동작방식) 능동통신 모드(자체 전원 공급, 리더간 P2P), 수동통신 모드(자체 전원 공급 미지원, 리더/태그간 통신) (NFC 동작방식) Card Read/Write, Wired Mode, Virtual Card Mode, P2P 전송 |
|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
전자 태그, 리더, 미들웨어
|
(정의) 모든 사물에 전자 태그를 부착, 무선통신 기술 이용하여 사물 정보 및 주변 상황정보를 감지하는 근거리 무선통신 기술
(특징) 비접촉식, 오염에 강함, 자체 메모리, 반영구적 (구성요소) . Tag : 능동형-배터리 내장, 1~3년 / 수동형-전력 리더기에서 RF로 공급, 60년 . Reader, EPC(Electronic Product Code), ONS(Object Naming Service, EPC를 URL로 변환), PML(Phsical, 상품 정보 기술 XML 표준어) . 미들웨어 : ALE, Application Level Event, 태그 데이터 처리, 응용시스템과 연동 |
|
비콘(Beacon) |
블루투스 기반, Advertising Packet
|
(정의) 블루투스 4.0(BLE, Bluetooth Low Energy) 프로토콜 기반의 정확한 실내 위치 기반 근거리 무선통신 기술
(동작 원리) 비콘 단말장치는 장비 ID 포함 Advertising Packet을 스마트폰에 전송 → 수신단말과 BLE 장치 간 거리 이용 위치 계산 → 서버 전송(ID+계산 결과) → 서버는 ID로 위치 확인 및 서비스 제공 |
|
2D 바코드 |
무방향성 2차원 평면 바코드, QR 코드
|
(정의) 1차원 바코드의 정보량 한계 보완을 위한 2차원 형태 사각형 모양의 고밀도, 무방향성 평면 바코드
(특징) 독립적 자료처리(정보량 많음), 높은 인식률(다양한 각도), 편의성, 보안성, 오류 복구(30% 면적 회손되도 복원 가능, Level H) (종류) QR 코드, DataMatrix, PDF417, MaxiCode (QR 코드) . 구성요소 : 위치, 배열, 타이밍(7,7), 버전정보(1~40), 형태정보, 데이터 및 에러 교정키 |
|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
지리공간 데이터 분석/가공, 래스터, 벡터
|
(정의) 지리공간 데이터를 분석, 가공하여 교통, 통신 등과 같은 지형 관련 분야에 활용할 수 있는 시스템
(유형) Web GIS, Mobile GIS, 3차원 GIS (공간 데이터 표현 방식) 래스터(격자, 픽셀), 벡터(점,선,다각형 등) |
|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
인공위성, SPS, PPS
|
(정의) 인공위성 정보를 수신하여 물체의 위치를 측정 할 수 있는 시스템
(서비스 유형) . SPS(Standard) : 표준 측위 서비스, 민간, 정확도 100m . PPS(Precies) : 정밀 측위 서비스, 군사부분, 정확도 20~30m |
|
지오펜싱(Geo-fencing) |
위치 정보 기반 맞춤형 서비스 제공
|
(정의) Geographic + fencing, LDT(위치측위기술)를 통해 수집된 정보를 활용하여, 특정 범위 내의 고객에게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
|
|
LAS(Location Aware System) | 위치 인식 기술 |
(정의) 특정한 위치에 있는 사물의 위치를 알아내어 그에 적절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위치 인식 기술
(종류) . 이동통신 이용 : AOA(Angle of Arrival, 각도), TOA(Time, 전파지연), TDOA(Time Difference, 전파지연시간차), Cell-ID(기지국 ID) . 위성통신 이용 : A-GPS(Assisted, 단말기 칩이 위치정보 읽어 기지국에 알려줌), D-GPS(Differential, 기준 수신기의 보정신호로 오차 보정) . 무선통신 이용 : RFID, UWB,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초음파 . 영상인식 이용 : 컴퓨터 비전 인식 |
|
LBS(Location Based Service) |
이동 단말 위치 정보 서비스
|
(정의) 이동 중인 사용자에 대한 위치정보 기반 서비스
(특징) 이동성, 즉시성, 개인화, 킬러서비스 (기술요소) . 위치측위기술(LDT, Location Determination Technology) : 네트워크(기지국) 기반, 위성신호(GPS) 기반, Wi-Fi 기반, 혼합측위, 비콘 . LBS 미들웨어(LEP, Location Enable Platform) : 위치정보 관리, 부가 기능 통합 제공 . LBS 응용기술(LAP, Location Application Program) : 콘텐츠 처리, 운영 |
|
RTLS(Real Time Location System) | RTLS 태그 |
(정의) RTLS 태그를 부착한 사물의 위치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해주는 시스템
(특징) 실시간성, 제한된 공간 내 활용, RFID 기반, Wi-Fi 기반 |
|
실내측위기술 |
WLAN/센서 기반
|
(정의) WLAN, 센서 등을 활용하여 실내 위치를 측위하는 기술
(주요 기술) . WLAN 기반 : Fingerprint(Radio map), RTT(전파 시간), AoA(단말-AP 삼각측량) . 센서 기반 : LED(조명의 가시주파수), 지자기센서(지구 자기장 변화) |
|
Smart TV |
웹 구동 운영체제, 콘텐츠 제공
|
(정의) 웹 구동 운영체제를 탑재하여 인터넷 기반 콘텐츠도 제공해주는 TV
(기술요소) 터미널(STB, 콘텐츠보호 : CAS,DRM), 네트워크(BCN, FTTH), 콘텐츠(압축, 양방향 통신), SW(미들웨어, 어플리케이션) |
|
셋톱박스(Set Top Box, STB) |
TV/IP망 간 인터페이스
|
(정의) TV와 광대역 네트워크 간 인터페이스 역할을 하는 장치로 IP패킷을 복호화하여 TV화면에 맞는 신호로 변환해주는 단말
(구조 : 4계층) HW 계층(Media Processor), 시스템 SW 계층(OS,장치 드라이버), 미들웨어 계층(JVM, CAS, DRM), 애플리케이션 계층 |
|
하이브리드 NW 스트리밍 |
하이브리드 NIC, MPEG2-TS/RTP
|
(정의) 스마트TV에 인터넷 및 방송망의 하이브리드 NIC를 장착하여 방송망 사용하는 경우 일반화질로, 인터넷 추가 접속하면 고화질 서비스 제공
(전송 프로토콜) MPEG2-TS(Transport Stream, 방송망), RTP(인터넷망), DASH(Dynamic Adaptive Stream over HTTP), MMT(MPEG Media Transport) |
|
3DTV |
양안 시차 원리, 안경/무안경, 아이트래킹
|
(3D TV의 원리) 양안 시차 원리를 이용
(3D TV 분류) . 안경 : 공간 분할 - 적청방식, 편광 방식(좌우 영상 분리) / 시간 분할 - 셔터 방식(좌우 영상 교차 제공) . 무안경 : 공간 분할 - 시차베리어(시차장벽, 좌우 영상 분리), 렌티큘러(반원통형 렌즈, 빛의 굴절) / 공통단점 : 시청위치와 시야가 제한적, 해상도 저하 → 아이트래킹(시청자 눈위치 파악하여 최적의 3D 영상 구현), 다시점 View (n개의 멀티뷰 생성) |
|
IPTV |
IP망 통해 TPS 서비스, T-Commerce, 멀티캐스트
|
(정의) IP망을 통해(UDP, 멀티캐스트) TPS서비스(Triple Play Service, Voice, Video, Data)를 제공하는 통신과 방송의 융합된 서비스
(특징) 양방향 서비스(T-Commerce), 개인화 서비스, 번들 서비스 용이, TPS 용이 (요소기술:TV들 다 비슷) . 네트워크(RTP, RTCP, 멀티캐스트(IGMP, PIM), QoS, BcN), 압축(MPEG4), Encoder(Codec), 지적재산권(DRM, CAS), 서비스(T-Commerce) (IPTV 2.0) 다양한 단말, 유뮤선 융합 (Mobile IPTV 이슈) 무선구간에서의 불안정한 가용 대역폭, 사용자 단말 성능 한계 |
|
Open IPTV |
콘텐츠 개방, 참여, 오픈마켓
|
(정의) IPTV 콘텐츠를 개방하고 참여 형태의 오픈마켓 이용하는 서비스
(특징) 개방형 인터페이스, 오픈마켓, N스크린 |
|
CAS(Conditional Access System) |
콘텐츠 접근 수신제한 시스템, ECM/EMM/스크램블러/디스크램블러
|
(정의) 콘텐츠 접근 수신제한 시스템, 권한 있는 특정 이용자에게만 접근 허용하는 시스템
(유형) SW기반(스마트카드 내장), HW기반(SoC), 다운로드 기반(DCAS) (단점) 재전송 콘텐츠의 보호 불가능, DRM 대비 고가 (구성요소) . ECM 생성기(Entitlement Control Message) : 콘텐츠 정보 기반 ECM 생성 . EMM 생성기(Entitilement Management Message) : 가입자 및 구매 정보 기반 EMM 생성 . 스크램블러(뒤섞음), 디스크램블러(원래대로) (이외) . DCAS(Downloadable) : CAS 소프트웨어를 가입자 STB에 안전하게 다운로드 하기 위한 기술 . XCAS(eXchangeable) : 한국형 CableTV DCAS . iCAS(Interchangeable CAS) : 한국형 IPTV DCAS, 방통위에서 2008년10월 STB에 탑재 의무화 |
|
가상현실(Virtual Reality) | 가상 |
(정의) 컴퓨터 등을 사용한 인공적인 기술로 만들어낸 실제와 유사하지만 실제가 아닌 어떤 특정한 환경이나 상황 기술 자체를 의미
|
|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
실제와 가상 합성, Seamless, 몰입감/현실감
|
(정의) 실세계와 가상정보를 Seamless하게 실시간 합성하여 사용자에게 몰입감과 현실감을 제공하는 기술
(특징) 현실기반 합성, 실감성, 실시간 상호작용, TUI(Tangible UI, 실물형 인터페이스)를 통한 조작성 강화 (종류) 위치기반 AR, 마커기반 AR(카메라를 통해 인식), 비마커기반 AR(특정 이미지를 인식) (구성요소) Tracking(마커 위치정보 획득), Calibration(교정, 좌표 관계 계산), Registration(가상객체 정합), 3D Processing(3D 구현, 렌더링)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