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관리 기술사 공부
주요 토픽 정리 451~480 [DS]
장술사
2023. 7. 27. 09:12
반응형
토픽 | 키워드 | 두음신공 | 주요 내용 |
세이프 네트워크(Safe NW) |
국가 기간 시스템 보호, TOC, 비화라우터, IAM
|
(정의) 핵심 서비스와 국가 기간시스템 보호를 위해 비신뢰적 통신망을 이용하여 단말/서버/NW 기기 간 신뢰적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NW 기술
(핵심 기술) . 망은닉 : IP주소 은닉, TOR(The Onion Ring), Safe-VPN, 지능형 NW 기술(DPI 이용), 비화 라우터 . IAM(Identification and Authority Management) : ID와 권한 관리 |
|
자율컴퓨팅(Automatic Computing) |
자가 구성/치유/최적화/보호 기술, SON과 비슷
|
(정의) On Demand 서비스가 제공되는 인프라를 자율적으로 구성하고, 스스로를 보호하며, 문제 발생시 회복할 수 있도록 환경을 최적화 후 예측 불가능한 불확실성을 해결하기 위한 기술, 감지→분석→계획→실행
(특징) 신속성, 정책 기반, 단순화 (구현기술) . 자가 구성 기술 : SW 자동 설치 등, 인공지능 기술, 모니터링 기술, 가상 Storage . 자가 치유 기술 : 정책 기반 시스템 기능장애 탐지 등 실패 요소 회복, Fault Tolerant, ITS(Intrusion Tolerant System) . 자가 최적화 기술 : QoS 제공 등 효율 개선, 리팩토링 기술, BPM(Business Process Management) 기술 . 자가 보호 기술 : 외부 침입 감지 등, UTM, 네트워크 보호 기술 |
|
IoT |
(정의) 다양한 주변 사물이 인터넷에 참여하여 사물-사물, 사람-사물 간의 네트워크를 포괄하는 인터넷의 패러다임
* Any Time, Any Where, Any Thing * WoT(Web of Things) : 서로 연결된 모든 종류의 디바이스에서 접근(사용)가능한 분산된 어플리케이션과 서비스 |
||
CPS(Cyber Physical System) |
대규모 기계장치 제어, 센서/액츄에이터/컨트롤러
|
(정의) 대규모 센서/액츄에이터를 가지는 물리적인 요소를 통신/시스템 기술을 이용하여 데이터 수집 및 분석, 제어하는 복합 시스템
(목적) 복잡한 물리 시스템 단순화를 통해, 신뢰성 향상 및 예측 가능 상태 유지, 고신뢰성, 실시간성, 안전성, 자율성, 보안성 제공 (구성요소) Sensor, Actuator, Controller (기술요소) 구성(자율컴퓨팅(Self-Adaptation), 통신(IPv6, WPAN, DDS, MQTT)), 수집(센서, IoT, 빅데이터), 분석(인공지능, 딥러닝) * DDS : Data Distributuin Service |
|
스마트 팩토리 | Smart Machine, Smart Process, Smart Work | 머프웍 |
(정의) 전통적인 제조산업에 첨단 ICT 분야를 접목해 설비, 공정을 인터넷으로 연결하고 생산데이터를 실시간으로 활용하여 공정 최적화, 효율적인 생산 운영이 가능한 공장, 인더스트리 4.0
(기술요소) . Smart Machine : IoT, CPS, USN, 로보틱스, 시맨틱(지능형) 메모리(설비, 로봇이 능동적 대처), 디지털트윈, 3D/4D 프린팅 . Smart Process : 플랫폼 기술, 데이터 처리 기술, 컴퓨팅 기술, 네트워크 기술, 빅데이터, 인공지능 . Smart Work : BYOD, MDM, VDI |
BEMS(Building Energy Management System) |
에너지 절감, BAS, FMS, BACnet
|
(정의) 지능형 건물 에너지 관리, 에너지 절감을 위해 건물 설비 에너지 사용량 등을 수집하여 에너지 절감 요소를 분석/관리하는 시스템
(기능) 에너지 소비량 파악, 각종 보고서 작성, 에너지 절약 시뮬레이션, 수집 데이터 분석 * 빌딩 자동화 시스템(BAS, Building Automation System), 시설관리 시스템(FMS, Facility Management System) * BACnet(Building Automation and Control network) : 빌딩 자동제어 네트워크의 표준 프로토콜 |
|
에너지 하베스팅(Harvesting) |
에너지 이삭 줍기
|
(정의) 기계적, 광학적, 화학적으로 발생하는 미약한 에너지를 모아 유용한 전력원으로 만드는 기술
(등장 배경) 저전력 기기/센서 네트워크/웨어러블 기기 확산, 에너지 축적 기술 발전, 나노 기술 발전 (수확 방식) 압전 에너지 변환(진동에 의한 전하 발생), 전자기 에너지 변환, 정전기 에너지 변환, 열전 에너지 변환(신체 열 등) |
|
센서 네트워크 라우팅 |
평면(DD, SPIN), 위치(GEAR, GPSR), 계층적(REACH, TEEN)
|
(센서 네트워크 경로제어)
. 평면 라우팅 : 네트워크 전체를 하나의 영역으로 간주, 모든 노드는 동등하게 라우팅에 참여 - DD (Directed Diffusion) : 최소 에너지 소모 경로로만 데이터 전송 - SPIN (Sensor Protocol for Information via Negotiation) : ADV 메시지 브로드 캐스팅, REQ 메시지 응답한 경로로 전송 . 위치 기반 라우팅 : 목적지 및 이웃 노드의 위치를 아는 상태에서 동작 - GEAR(Geographic and Energy-Aware Routing) : 지오캐스트(특정 지역) 영역 내 모든 노드에 전송 - GPSR (Greedy Perimeter Stateless Routing) : 주기적 비콘 메시지 바탕으로 전달할 노드 결정 . 계층적 라우팅 : 센서 수, 정보양, 전송 거리가 늘어날 경우 노드를 클러스터로 그룹화하고 헤드 선정하여 베이스 스테이션과 통신 - REACH : 클러스터 내 모든 노드는 헤드로 전송, 헤드가 베이스 스테이션으로 일괄 전송 - TEEN : REACH 개선, 헤드는 버퍼없이 즉시 전송 |
|
HIS(Hospital Information System) |
병원 관리 시스템
|
(정의) 병원관리의 원활한 업무 수행을 위한 병원관리 전반에 걸친 의료정보 시스템(원무관리, 일반관리, 처방전달, 진료지원, 경영정보, 영상전달, 전자의무기록 등)
(요소기술) . OCS(Order Communication, 처방전없는), PACS(필름없는), EMR(Electronic Medical Record, 진료기록, 챠트없는), POC(Point of Care, 모바일 이용) 등 * EHR : Electronic Health Record, 진료기록뿐 아니라 평생건강정보가 전산화된 자료, 국가차원 * 국내 EMR : 보급율은 높지만 질은 떨어짐(병원 재각각 구축, 표준 부재) → 정보 공유 및 빅데이터 활용 어려움 → 인증제, 표준, 정부 지원 필요 |
|
PHR(Personal Health Record) |
EHR+Wellness, 개인건강관리 서비스
|
(정의) 개인 건강과 관련한 모든 정보, 이를 바탕으로 제공되는 개인건강관리 서비스 및 플랫폼을 포함하는 개념
|
|
PACS |
의료영상 저장/전송
|
* Picture Archiving and Communication System
(정의) MRI, CT 등 의료 영상의 신속한 전달 및 공유와 Filmless 환경을 위한 의료 영상 저장 및 전송 시스템 (구성요소) 영상획득부(DICOM), 영상저장부(SAN, NAS, RAID, DW, 압축기술), 영상조회부(OCS, EMR, 응급실) |
|
DICOM |
의료영상 표준, IOD, DIMSE
|
* Digital Imaging and Communications in Medicine
(정의) 의료 영상 정보의 획득, 전송을 위한 TCP/IP 기반 응용계층 프로토콜인 의료영상 표준(영상정보 표준, 통신 표준) (배경) 업체별 영상자료 저장 방식이 달라 고가의 GW 구축 비용이 대두되면서 응용계층의 표준 프로토콜을 통해 상호 통신 가능하게함 (구성요소) . 영상정보 규정(IOD, Information Object Definition), 영상압축기술, 전송 프로토콜(v3.0) . 명령어 모음(DIMSE, 딤씨, DICOM Message Service Element, 저장(c-store), 검색(c-find), 획득(c-get), 전송(c-move)) |
|
HL7 |
의료정보 전송 표준, 트리거 이벤트 기반
|
* Health Levev 7
(정의) 의료정보 시스템 간의 트리거 이벤트 기반 메시지 전송 표준(defacto 표준), HL7 v2.x, HL7 v3(XML) (배경) 헬스케어 수요 증가에 따른 의료 시스템 간 정보 호환의 중요성이 커짐 (구성) 트리거 이벤트(메시지 촉발하는 어플리케이션 이벤트), 메시지 구조(메시지의 추상적 정의), 코딩 규칙(전송을 위한 메시지 표현) * FHIR(Fast Healthcare Interoperability Resources) : 의료기기 간 상호운용성 보장을 위한 웹 기반 의료정보화 영역 프레임워크 (배경) 의료인에 맞춰 개발된 HL7의 개발자/환자의 요구사항 적용 한계와 다변하는(IoT, 클라우드, 모바일) 환경에서의 기존 프레임워크(V2 Message, V3 RIM, CDA)의 유연한 대응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장점들을 결합 |
|
e-Health | Health + IT |
(정의) 인터넷 등 온라인을 통해 모든 사람들에게 의료정보 및 의료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것
|
|
u-Health |
eHealth+UT+BT(Bio)
|
(정의) e-Health를 원격의료 등 언제 어디서나 예방, 진단, 치료의 건강관리를 받을 수 있는 소비자 생활 중심으로 발전시킨 의료 서비스
(주요 기술) 측정센서 기술(웨어러블 센서, 환경 센서), 전송 기술(Zigbee, 블루투스 등 근거리 통신 이용하여 가정 G/W로 전달), 측정기기 기술(심전계, 뇌파계, 근전계, 혈압계, 맥박계) |
|
ISO 25237 | 비식별화(익명화) | 가총삭범마 |
(정의) 개인 의료정보 개인정보보호를 위한 비식별화(pseudonymization) 서비스의 원칙과 요구사항을 포함하는 ISO국제표준
(익명화 기법) 가명처리, 총계처리, 데이터값(가치) 삭제, 범주화, 데이터 마스킹 |
e-Learning |
SCORM, LCMS, LMS, MOOC(양방향 상호참여적)
|
(정의) 언제, 어디서나, 누구나 원하는 맞춤형 학습을 사이버 공간에서 할 수 있는 체제
(구성요소) SCORM, LCMS, DRM, LMS, Portal (동향) 증강현실, 가상현실, 시뮬레이션, 맞춤형 * 에듀테크 : 전통적 교육 + ICT 기술, 밑에 있는 것들이 해당된다고 보면 됨 * v-Learning : 가상세계 + 교육 + 엔터테인먼트, * u-Learning : 유비쿼터스 환경 기반 일상적 생활공간에서 학습 * 스마트러닝 : 클라우드 기반 학습자 중심의 지능형 맞춤학습 * 소셜-Learning : 소셜 미디어(위키,유투브,TED 등)를 통해 지식과 정보를 공유하는 학습방법, 맥락(context), 연결(Connectivity), 협업(Collaboration) * MOOC(Massive Online Open Course) : 웹 서비스를 기반으로 참여자들 간의 커뮤니티(토론, 질의응답, 퀴즈, 위키 등)를 중심으로 교육을 진행하는 상호참여적 양방향 교육, 대규모, 공유개념, 원칙적 무료, 수강신청에 따른 스케줄 생성 |
|
SCORM | 교육용 콘텐츠 개발 표준, Overview, CAM, RTE | ORC |
* Sharable Content Object Reference Model
(정의) 교육 콘텐츠 재사용과 상호운용(호환성)을 위해 콘텐츠의 구성요소, 데이터 모델, 프로토콜 등을 정의한 교육용 콘텐츠 개발 표준안 (구성요소) . Overview, RTE(Run-Time Environment, XML), S&N(Sequencing & Navigation(이전 학습위치 체크, 가이드라인 체크) . CAM(Contents Aggregation Model) : Manifest(목차), Metadata(목차 세부설명, LOM 표준(한국은 KEM)) * Common Cartridge : 단일사용자 중심 학습이 아닌 교수자/튜터의 역할 및 커뮤니티를 연계할 수 있는 표준 기술(커뮤니티, 피드백, 오프라인) |
디지털 교과서 |
2.0 개선, 이동형/다양한 플랫폼/중앙 관리/고품질/저비용
|
(정의) 교과서를 디지털화 (KEM 규격을 따르는 메타데이터)
(디지털 교과서 2.0의 기존 대비 개선점) . 웹2.0 가치 반영, 이동형 콘텐츠, 다양한 플랫폼 지원, 중앙 관리, 고품질 서비스, 저비용 구조 |
|
ePUB(Electronic Publication) |
개방형 전자서적 표준, OCF, OPF, OPS
|
(정의) e-Book의 유통과 상호 교환을 위한 IDPF(전자출판 포럼)에서 제안한 개방형 전자서적 표준, e-book file format
(구성요소) OCF(Open Container Format, 파일 통합), OPF(Open Package Format, 패키징 정보), OPS(Open Publication Structure, 실제 내용) |
|
텔레메틱스(Telematics) |
주행안전, 친환경, 운전편의
|
(정의) 차량 내 정보단말을 통해 차량과 운전자에게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위치측위 기술과 양방향 통신시스템을 이용한 종합정보시스템
(구성요소) 클라이언트(단말, 측위장치, 차량장치, HMI, 미디어, MOST, CAN), 통신망(유무선, V2V, V2I), 서버(TSP, CP) (서비스 유형) 주행안전, 친환경, 운전편의 * MOST(Media Oriented Systems Transport) : 차량 멀티미디어 어플리케이션을 위한 통신프로토콜 * CAN(Controller Area Network) : 차량 내 ECU와 장치들 간 통신 프로토콜 * TSP(Telematics Service Provider), CP(Contents Provider) |
|
스마트카 | 고안전, 고편의 |
(정의) 고안전과 고편의 기능 제공을 위해 전기, 전자, 통신 기술을 접목한 인간 친화적 자동차
|
|
커넥티드 카 |
통신망 연결, 임베디드, 테더드, 통합
|
(정의) 차량을 통신망에 연결해 원격 차량제어 및 관리, 엔터테인먼트 서비스 제공 등 IT기기 처럼 활용할 수 있는 자동차, 바퀴달린 스마트폰
(연결 방식 : 정보처리 기능과 통신 접속 기능이 어디에 설치되느냐에 따라 구분) . 임베디드(차량:정보처리, 통신기능), 테더드(차량:정보처리~테더링~스마트폰(통신기능), 통합(차량~도킹~스마트폰(정보처리, 통신기능) |
|
자율주행 자동차 |
인지, 판단, 제어
|
(정의) 스스로 주변환경을 인지하여 위험 판단 및 차량 제어 등 운전자의 주행조작을 최소화하며 스스로 안전주행이 가능한 자동차
(주요 기술 : 인지/판단/제어) . 상황인지 기술 - 센서 : 레이더(전자기파), 레이저(빛), 라이다(레이저를 스캐너 방식으로 활용, 3차원 영상), 초음파(높은 주파수 음파, 짧은 거리), 카메라 - 내부 통신 : CAN(ECU들 간), LIN(버스 구조의 저속 네트워크), MOST(멀티미디어) - 외부 통신 : WAVE(V2X), CICAS(교차로 충돌방지 시스템), DSRC(단거리 전용 무선 통신 채널), Wifi, 5G . 상황판단 기술 - 수집정보해석 : ECU, DSP(Digital Signal Processor), MCU(Micro Control Unit), 인공지능 - 경로생성 : HD MAP(정밀지도), MMS(Mobile Mapping System, 도로위 고정밀 데이터 취득 기술) , 위성측위, GPS . 차량제어 기술 : 전장장치관리(운영체제, 파일시스템, 데이터베이스), 차량 제어/제동/조향 기술(ABS(제동), ESC(차체 자세제어), MDPS(조향)) * DSRC : Dedicated Short Range Communication, ITS에 활용, 하이패스, 버스도착알림, * CICAS : Cooperative Intersection Collision Avoidance Systems * ABS : Anti lock Braking System, * ESC : Electronic Stability Control, * MDPS : Motor Driven Power Steering (주요 활용기술) . 차선 이탈 경고(LDW, Lane Departure Warning), 차간거리 유지(ACC, Adaptive Cruise Control), 충돌 방지(CAS, Collision Avoidance System) . 교통 신호 인식(TSR, Traffic Sign Recognition), 자동 긴급 제동(AEB, Advanced Emergency Braking) |
|
V2V |
WAVE 기반 차량간 멀티홉 통신 기술
|
(정의) VANET(Vehicular Ad-hoc NETwork)의 요소기술로 WAVE기반의 차량간 멀티홉 통신 기술
(V2X 종류) V2P(보행자), V2N(네트워크), V2V(차량간), V2I(인프라), V2G(Grid, 전기요금이 싼 시간에 충전, 피크시간에 역전송(판매)) |
|
ISO 26262 | 자동차 기능 안전 국제 규격, ISO 61508 기반 | 용기구-시하소생-지안가반모 |
(정의) 자동차 전기전자 제어 시스템 결함에 의한 오동작으로 발생 가능한 위험을 완화/제어/회피하기 위한 자동차 기능 안전 국제 규격
(특징) ISO 61508 기반(일반 전기전자 제품 국제표준) 자동차 특화, 소비자 관점의 안전에 중점 (2011.11 1판 part 10 → 2018.5 2판 part 12 : 시스템/하드웨어의 우발 고장 대응 설계를 위한 기술적 요소 강화) . 적용 범위 확장 : 3.5톤 미만 중량 제한 제거, 이륜차(모페드 제외) . 각 파트별 목적 구체화, 용어 정의 추가/수정(트럭, 버스, 반도체 관련, FTTI 개념) (구성요소 : Part 1 ~ 12) . 용어, 기능안전관리(전반적), 구상단계(안전 목표, 안전 메커니즘 정의), 시스템/하드웨어/소프트웨어 레벨 제품개발(V모델 따름), 생산 및 운용, 지원프로세스(요구사항 관리, 자격 검증), ASIL 및 안전 중심의 분석, 가이드라인(ISO 26262 이해를 위한 정보), 반도체 적용 가이드라인, 모터사이클 적용 * Part 11 : 26262를 준수하는 IP(Intellectual Property, 지적 재산) 개발지원 상세정보, 기본 고장률 예측 가이드, 종속고장분석 방법, 결함주입시험 방법 |
ASIL(Automotive Safety Integrity Level) |
차량 안전성 보전 등급, S3E4C3-D
|
(정의) ISO61508 안전성 보전등급(SIL) 개념을 자동차 특성에 맞게 개선한 차량 안전성 보전 등급 (A~D 등급, D등급 가장 엄격)
(구성요소) . 심각성(S : Severity, S0 ~ S3), 발생빈도(E : Exposure, E0 ~ E4), 제어가능성(C : Controllability, C0 ~ C3) 기반 위험 상황 평가 . ASIL을 활용해 허용 가능한 잔여 위험을 달성하는 데 필요한 품목별 안전 요구사항 지정 |
|
스마트 그리드 |
전력망 지능화, 송배전망, 스마트 미터
|
(정의) 에너지 효율 최적화를 위해 전량망(Grid)에 ICT 기술(Smart)을 접목하여 실시간 양방향 정보 교환 및 지능화한 전력망
(구조) 송배전망(송배전망 제어 시스템) --게이트웨이--정보통신망 시스템 -- 스마트 미터 -- 주택/빌딩 * 마이크로 그리드(Microgrid) : 스마트 그리드 시스템을 사용하여 소규모 지역에서 전기에너지를 자급자족 할 수 있는 국부적인 독립전력망 |
|
EMS(Energy Management System) |
에너지 관리, 에너지 절감
|
(정의) 전력 수급의 균형 유지와 경제적, 안정적인 공급을 위해 발전 설비의 운영과 계통 상태를 제어하는 에너지관리 시스템, 실시간 에너지 사용량 측정 및 분석을 통해 에너지를 절감
(종류) HEMS(Home, IHD(In-home display)), BEMS(Building), FEMS(Factory), CEMS(City/Community, 지역 에너지관리시스템) |
|
SCADA(Supervisory Control And Data Acquisition) |
설비 감시/제어 중앙집중관제 시스템
|
(정의) 설비 정보를 원격단말장치(PLC,RTU)를 통해 수집하고, 이를 바탕으로 통합 감시/제어를 수행하는 중앙집중관제(제어) 시스템
(구성) 설비/센서 -- PLC, RTU -- SCADA -1.HMI -2.DB(EWS, 현장설비 설정 변경, 모델링) * PLC : Plogrammable Logic Controller, 로직을 통해 장치 운전 / RTU : Remote Termanal Unit, 신호변환, 제어 / EWS : Engineering Work Station * 지능형 SCADA : 빅데이터 기반으로 설비 고장 사전 예측, 맞춤형 정보 제공 / 미들웨어, 오픈 운영체제, NoSQL, All Digital 통신망, 실시간 |
반응형